IT 이야기

데이터 백업이 필요한 이유

빈둥거리기 2023. 5. 10. 18:30
728x90
반응형

백업(Backup)이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복구할 수 있도록 데이터의 사본을 만드는 프로세스입니다. 데이터는 하드 드라이브, 클라우드, 외부 저장소 등 다양한 위치에 저장될 수 있습니다. 이러한 위치에서 데이터가 손실될 경우, 이전에 만들어 둔 백업 파일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습니다.

백업은 시스템 장애, 데이터 손실, 사고, 해킹 등 다양한 문제 상황에서 유용합니다. 백업을 사용하면 중요한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.

 

백업의 종류

  • 전체 백업(Full backup)은 모든 데이터를 백업하는 것입니다. 
  • 증분 백업(Incremental backup)은 이전 백업 이후에 변경된 데이터만 백업하는 것입니다.
  • 차등 백업(Differential backup)은 이전 전체 백업 이후에 변경된 데이터만 백업합니다.

백업과 아카이브의 차이점은?

백업과 아카이브는 데이터 관리를 위한 두 가지 중요한 기술입니다. 그러나 둘은 서로 다른 목적과 방법을 가지고 있습니다.

  • 백업은 중요한 데이터를 보호하고 재해 복구를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의 사본을 만드는 것입니다. 백업은 일반적으로 주기적으로 수행되며, 이전에 만들어진 백업 파일은 지워집니다.
  • 아카이브는 장기 보존을 위한 목적으로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입니다. 아카이브는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를 저장하거나, 법적으로 보관해야 하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것입니다. 아카이브는 일반적으로 백업보다 더 오랜 시간 동안 보존됩니다.

따라서, 백업은 재해 복구를 위해 수행되는 일시적인 프로세스이며, 아카이브는 장기 보존을 위해 수행되는 영구적인 프로세스입니다.

 

백업 규칙 및 정책

  • 3-2-1 백업 규칙: 데이터를 백업할 때는 최소한 3개의 복제본을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. 이 중 2개는 다른 미디어에 저장하고 1개는 오프 사이트에 보관하는 것이 좋습니다. 이를 통해 하나의 복제본이 손상되더라도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.
  • 자동화: 백업을 자동화해야 합니다. 이를 통해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백업하고 유지할 수 있습니다. 수동 백업은 귀찮고 시간이 많이 들며, 실수로 데이터를 놓치는 경우가 있습니다.
  • 테스트: 백업된 데이터를 테스트해야 합니다. 백업된 데이터가 실제로 복구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. 이를 통해 백업이 올바르게 작동하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
  • 증분 및 차등 백업: 전체 백업을 수행하는 것보다 증분 및 차등 백업을 수행하는 것이 좋습니다. 이를 통해 백업 시간과 공간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.
  • 암호화 및 보안: 백업된 데이터는 암호화되어야 합니다. 이를 통해 민감한 데이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 또한 백업된 데이터는 보안이 강화된 장소에 보관되어야 합니다.

이를 통해 데이터 유출 및 손실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 위의 규칙들은 데이터 보호를 위한 백업 시나리오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. 이를 준수함으로써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.

 

참조: What is the 3-2-1 backup strategy? https://www.acronis.com/en-us/blog/posts/backup-rule/ 

728x90
반응형